티스토리 뷰

덕 수 궁

 

 

 

덕수궁 서울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대한민국의 사적 제 124호이며 면적은 63,069㎡이다. 원래 면적은 현재보다 넓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축소되었다.

 

 

본래 이름은 경운궁이다. 조선 초기 세조가 남편을 잃고 궁궐을 떠나는 맏며느리 수빈 한씨(인수대비)를 가엽게 여겨 개인 사저로 마련해 주었고, 이후 한씨의 차남 자산군이 보위에 오르게 되어 궁궐에 들어가자 장남인 월산대군이 물려 받았다. 임진왜란 뒤 선조가 월산대군의 집을 임시로 왕의 거처로 쓰면서 궁이 되었다. 1608년 선조가 죽은뒤 광해군이 이곳에서 즉위하는데, 그해 완성된 창덕궁으로 떠나면서 경운궁이라는 궁호를 붙여주었다. 1623년에는 인조가 이곳에서 즉위하였다. 또한,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곳이기도 하다. 1897년(고종 34)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이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비로서 궁궐다운 장대한 전각들을 갖추게 되었다. 1904년 큰 화재로 전각 대부분이 소실 되었으나, 1905년 즉조당.석어당.경효전.함녕전등이 중건되었다. 1906년 대안문이 수리된 뒤 대한문으로 개칭하고 정문으로 삼았다. 1907년(순종1) 순종 즉위 후 궁호가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변경되었다.

덕수궁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초부터 있었던 이름으로, 양위한 태조의 소어궁을 정종이 개성에 건립하여 덕수궁이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태종이 서울로 재환도하여 지금의 창경궁 부근에 태조의 궁을 세웠을 때에도 같은 이름인 덕수궁이라 하였다.

 

 

2011년 4월 한 시민에 으해 "덕수궁의 본래 이름인 경운궁 명칭을 회복되어야 한다 " 라는 민원을 제기돼 시작된 것으로 학계 일부에서도 덕수궁이 일제 침략의 잔재 이므로 경운궁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주최한공청회 등에서 " 일제 잔재라는 근거가 없다. "라는 반론이 강하게 제기돼 논란을 일으켰다.

 

 

결국, 문화재청은 2011년 12월 14일 오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 회의에서 덕수궁 명칭 변경 문제를 심의한 결과 경운궁으로 명칭을 변경 할 이유가 충분하지 못하고, 그에 대한 반대 의견도 많은 만큼 명칭 변경 안건 심의 자체를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신, 문화재위원회는 충분한 시산을 두고 덕수궁에 대한 광범위한 학술 연구 등을 거쳐 추후에 명칭 변경 재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루 했다.

 

 

현재 덕수궁에는 정문인, 정전인 중화전과 증화문,침전인 함녕전과 그 일곽(편전인 덕흥전과.동.서.남행각 및 당시의 함녕전 정문이었던 광명문),준명당.즉조당, 덕수궁 내에서유일한 2층 건물인 석어당, 그리고 정관헌.석조전 등의 건물이 남아 있는데, 덕수궁은 특히 서울에서 제일 먼저 근대 유럽의 고전주의파 건축 양식을 받아들인 진취적 궁궐로서 이채롭다.

 

 

 

 

대한문

 

대한문의 덕수궁의 정문이다. 원래 경운궁의 정문은 덕수궁 남쪽 중화문 건너편에 있던 인화문이었다. 1904년 화재로 1906년 중화전 등을 재건하면서 동쪽의 대안문을 대한문으로 이름을 고치고 궁의 정문으로 삼았다.

 

 

 

 

금천교

 

두갈래 흐르다 합쳐지는 정릉동천의 한 물줄기가 정동에서 발원하여 덕수궁을 관통하는데,자연하천이던 그것의 흐름을 약간 바꾸어 인공으로 명당수를 흐르게 한 뒤 놓은 돌다리이다. 2개의 나란한 홍예교로 되어 있다.

 

 

 

중화문

 

중화전과 같은 양식으로 지어졌으며,다포계 팔작지붕이다. 원래 회랑이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 때 헐려 현재 동부에 조금 남아 있다. 중화문 앞에는 원래 정문이었던 인화문이 있었다.

 

 

 

중화전

 

중화전은 덕수궁의 정전이다. 보물 819호로 지정되었고,중화전이 세워진 월대는 상.하월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월대는 3단으로 되어 있다.

 

 

 

석조전

 

석조전은 정면 54㎡ 너비 31m의 장대한 3층 석조 건물이다.

대한제국기 동안에 지어진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석조 건물이다.

 

 

 

서관

 

석조전 서관은 1937년 나마무라 요시헤이의 설계로 이왕직 박물관으로 지어졌다. 1950년 한국전쟁 중 전하를 입어 석조의 구조의 구조만을 남기고 전부 소멸된 것을 1953년 수리 하였으며,국립현대미술관 분관으로 활용하가 경복군 옆 국립현대 미술관 분관을 옮기고 1014년 복원공사가 끝나고 10월 31일에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느로 개간 하였다.

 

 

 

중명당

 

중명당은 1904년의 화재로 다시 지어 졌다. 원래는 준명당은 정면6칸,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897년에 새로 지은 내전의 하나로 한때 고종이 거쳐하며 외국사신을 접견 하던 고으로,후에 고종과 순종의 초상화를 하였다.

 

 

 

즉조당

 

즉조당은 정면 7칸, 측면4칸의 팔짝지붕 건물이다.덕수궁의 침전이다.

 

석어당

 

석어당은 궁전에 지어진 건물중 전각을 제외한 유일한 이층 집이다.

 

 

 

덕홍전

 

덕홍존은 1911년에 건립된 덕수궁 내 현존 전각 중에 가장 나중에 건조된 전각으로 내외 귀빈이 황제를 알현하던 것이다

 

 

 

함녕전

 

함녕전은 광무 1년에 지어진 목조 건물이다.대형건물로, 보물 제820호로 지정되었다

 

 

 

정관헌

 

동양적인 요소가 가미된 서양식 정자인 정관헌은 1900년경에 건립되었다. 고종이 다과를 들고 음악 감상 하던 곳으로, 한때는 태조,고종,순종의 영정을 봉인하기도 하였다.

2004년 2월6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 82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6웡 24일 문화재 증록이 말소 되었다.

 

 

 

광명문

 

광명문은 함녕전의 정문으로,1904년 함녕전이 화재로 소실되어 남아있고.일제 강점기에 현위치로 옮겨왔다.

 

 

 

 

 

 

인화문

 

인화문은 본래 덕수궁 정문이었는데 대안문 주변으로 도로가 나면서 그 기능을 상실했고 그 후 1905년의 화재로 탐버렸다.

 

 

 

 

양이재

 

정관헌 너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대 성당 옆에는 에전에 황실 교육기관으로 쓰이던 양이제가 있다.

 

 

 

 

 

중명전

 

평성문 밖에는 이 픙 서양식 건물로 접견실 또는 연회장으로 쓰였고 을사조약이 체결되기도 했던 중명전이 있는데 그 북쪽에 만희당.흠문각, 서쪽에 양복당.경효전 등이 있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